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후각수용체
- 향기 역사
- 향기 전달되는 방식
- 근대적 위생
- 치유의 역사
- 향 문화
- 아로마 콜로지
- 향기
- 향기 치료제
- 후각
- 무미야
- 향
- 중국의 향
- 향품
- 향의 의례적 기능
- 안전한 향기
- 파라오 시대
- 향수 발전
- 향의 역사
- 후각수용체 종류
- 유래
- 로마시대
- 향기 문화
- 향기 치유
- 에탄올 발견
- 천연향료
- 향 역사
- 고대 이집트
- 향기 주의 사항
- 합성향료
- Today
- Total
목록향 문화 (2)
향기 치유, 향의 역사, 향기 문화

근대적 위생과 향 사용의 역사 근대적 위생개념과 향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알랭 코르 뱅이라는 프랑스 작가가 있습니다. 이 작가는 감각, 시간, 공간과 같은 다양한 주제로 많은 저서를 남긴 역사가로서 국내에도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의 대표적인 저서는 몸의 역사, 사생활의 역사, 시간, 욕망, 그리고 공포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1982년 출판된 코르뱅의 악취와 향기라는 저서를 중심으로 근대 위생 개념의 발생과 향의 사용에 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코르뱅의 악취와 향기 이 책은 파트리트 쥐스킨트의 향수라는 소설에 영향을 준 책으로도 유명합니다. 코르뱅의 악취와 향기는 18~19세기 후각과 사회적 상상력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단순한 후각의 역사가 아닙니다. 이 책은 후각이라는 창을 통해서..

불교에서 향의 역사와 의미 석가탑은 그 아름다운 외형만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탑 안에 아주 중요한 유물이 들어있었다는 점에서도 우리나라 불교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석가탑 안에 들어있던 유물 중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무구정광 대다라니 경이입니다.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현존하는 목판인쇄물 중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이것이 처음으로 발견된 것은 1966년 석가탑의 보수공사 때입니다.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다라니경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 경전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런데 1966년에 발견된 유물 가운데 1997년에야 비로소 공개된 유물이 있습니다. 바로 묵서지편이라는 종이뭉치입니다. 이 묵서지편은 화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1966년 발견 당시 전체가 하나의 떡처럼 눌어붙어있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