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향 문화
- 향기 치유
- 근대적 위생
- 향기 역사
- 향수 발전
- 유래
- 향 역사
- 파라오 시대
- 로마시대
- 합성향료
- 아로마 콜로지
- 향기
- 향기 전달되는 방식
- 향의 역사
- 후각수용체 종류
- 향의 의례적 기능
- 천연향료
- 향기 문화
- 무미야
- 향품
- 고대 이집트
- 에탄올 발견
- 향
- 치유의 역사
- 향기 치료제
- 안전한 향기
- 후각수용체
- 향기 주의 사항
- 중국의 향
- 후각
- Today
- Total
목록향 (5)
향기 치유, 향의 역사, 향기 문화

후각과 후각이 뇌에 인지되는 과정 지금 여러분의 주변에서 느껴지는 냄새 혹은 향이 있나요? 후각은 눈 귀 촉감과 함께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판단하는 오감 중의 하나입니다 그중 후각은 냄새를 인지합니다. 나쁜 냄새는 회피하는 행동, 부정적인 신체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좋은 냄새는 정서적인 안정, 사회적 호감도 상승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합니다. 후각은 미각을 완성하고 인간의 감각을 풍부하게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그럼 후각을 자극하는 냄새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시각을 자극하는 것은 빛이며 이는 빛 스펙트럼과 파장으로 정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청각을 자극하는 소리 역시 공기의 진동과 파장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냄새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냄새의 정체는 냄새 물질을 설명함으로써 정..

향의 대중화를 이끈 합성향료의 역할 향이 대중화되는데 기여한 합성향료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세기 들어 프랑스 독일 등에서는 유기합성 및 화학공업이 크게 발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화학적 부산물로서 합성 향료가 등장하게 됩니다. 저렴한 비용인 합성 향료 합성 향료는 천연 향료에 비해 저가이며 공급량이 많다는 장점이 있어 향수의 대중화를 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kg 정도의 천연 장미 향료를 얻기 위해서는 장미 2백만 송이 정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천연 향료의 가격은 kg당 수천만 원이 훌쩍 넘게 형성되기도 합니다. 만약 합성 향료를 이용해서 장미향을 조향 한다면 10만 원대 이하로도 가격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조향사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

고대 이집트 파라오 시대와 향의 역사 고대 이집트인들이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향을 즐겨 사용하였다는 사실은 이미 살펴본 바 있습니다. 우리는 당대를 대표하는 향수, 키피를 알아보기도 했지요. 오늘은 향에 자신을 던졌던 파라오 이야기를 통해 당대의 사람들이 향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고대 도시국가에서 향료 용도 전설과 영혼이 살아 숨 쉬는 이집트 카이로에서 1000km 떨어진 고대 도시 국가의 수도 테베가 있습니다. 지금은 룩소르라고 불리는 이곳은 나일강을 끼고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으며 향의 역사가 시작된 곳이기도 합니다. 룩소르의 서쪽 사막 계곡에 아크로폴리스 왕가의 무덤이 있습니다. 이곳에는 3000년이라는 긴 시간이 베일에 싸여 있다가 1922년 하워드 카터에 의해 원형 그대로 발굴된..

불교에서 향의 역사와 의미 석가탑은 그 아름다운 외형만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탑 안에 아주 중요한 유물이 들어있었다는 점에서도 우리나라 불교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석가탑 안에 들어있던 유물 중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무구정광 대다라니 경이입니다.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현존하는 목판인쇄물 중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이것이 처음으로 발견된 것은 1966년 석가탑의 보수공사 때입니다.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다라니경이라고도 하며 대승불교 경전 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런데 1966년에 발견된 유물 가운데 1997년에야 비로소 공개된 유물이 있습니다. 바로 묵서지편이라는 종이뭉치입니다. 이 묵서지편은 화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1966년 발견 당시 전체가 하나의 떡처럼 눌어붙어있었습니..

기독교에서의 향의 흔적과 의미 바로 4000년 전, 이집트, 아라비아, 지중해를 연결했던 인센스로드(Incense road), 즉 '향의 길'이었습니다. 인센스로드는 아라비아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오만의 옛 도시 우바르에서 시작해서 아라비아반도 해안선을 따라 지금의 팔레스타인 지역인 가자지구에 이르는 세계 최초의 향 무역로였습니다. 가자지구에 도착한 향은 지금은 사라진 요르단의 옛 도시 페트라와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다마스쿠스, 멀리 지중해 서쪽 지방까지 수출되었습니다. 인센스 로드를 따라 향을 운반하던 카라반들은 두 달간의 여정 동안 숱한 생사의 고비를 넘겼고 막대한 세금을 주변 도시에 바쳤습니다. 그 덕분에 인센스 로드 주변 도시들은 문화적, 경제적 번영을 구가했습니다. 그 길에서 카라반들은 오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