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근대적 위생
- 향기 전달되는 방식
- 향기 문화
- 향 문화
- 천연향료
- 향수 발전
- 후각수용체
- 향품
- 향기 역사
- 고대 이집트
- 아로마 콜로지
- 안전한 향기
- 후각
- 에탄올 발견
- 무미야
- 향
- 후각수용체 종류
- 향기
- 치유의 역사
- 향 역사
- 향기 치료제
- 향기 주의 사항
- 합성향료
- 향의 역사
- 향의 의례적 기능
- 유래
- 로마시대
- 향기 치유
- 파라오 시대
- 중국의 향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
향기 치유, 향의 역사, 향기 문화

향기가 전달되는 방식과 이때 주의해야 할 점 약을 먹으면 우리 몸속으로 약물이 전달이 됩니다. 가장 흔하게 입으로 약을 먹는 것인데 이를 경구투여라고 부릅니다. 멀미약을 붙이거나 연고를 발라 약물을 전달하는 것을 경피흡수라고 부릅니다. 피부를 통해 약물이 흡수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리고 기관지가 좁아진 환자들에게 사용하는 약물처럼 코로 흡입해서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을 경비 흡수라고 합니다. 이처럼 약물이 우리 몸속으로 전달되는 방식을 DDS 즉 Drug delivery system이라고 부릅니다. 번역하면 약물전달 시스템이 됩니다. 약물전달 시스템 약물은 전달되는 방식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효과와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약물 전달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피부 염증을 가..

향기 치료제로 알려졌던 무미야 몇 해 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16세기 중엽부터 유럽인들이 만병통치약으로 사용한 무미야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무미야'의 정체는 놀랍게도 이집트 미라를 가루로 만든 것이어서 많은 시청자들이 놀란 적이 있습니다. 무미야는 부러진 뼈에도 효능이 있고, 정신을 잃고 쓰러진 사람도 먹기만 하면 한 번에 일어나는 등의 효과가 있어서 신비의 정력제로 불릴 정도였습니다. 그 후 중세 유럽 사람들은 무미야를 가정상비약으로 복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무미야 사용의 역사 의학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던 르네상스 시대의 유럽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약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미라가 그 역할을 하게 된 것입니다. 오래되었지만 썩지 않은 미라와 당시 유행하던 이집트에 대한 환상 등이 작용하여 맹목적인..

향기 치유의 형태와 효능 고대의 문헌에서는 다양한 향기의 효능을 기록하고 있으며 고대 중국, 인도, 이집트 등에서는 동물 또는 식물로부터 기름 성분을 얻거나 또는 향기가 나는 부위를 이용해서 다양한 치유 행위에 사용했다고 전해집니다. 순도 높은 에탄올을 이용해서 천연 에센셜 오일을 얻기 시작했던 중세는 물론 현재까지도 천연 에센셜 오일의 향기를 이용한 치유 행위는 독일, 프랑스, 중국, 인도, 베트남, 일본 등 다양한 나라에서 행해지고 있습니다. 향을 이용한 치유 행위는 20세기 초의 프랑스 병리학자인 가타 퍼스에 의해 아로마세러피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현대에는 주로 천연 에센셜 오일을 사용해서 향 자체의 치유 효과를 얻기도 하고 또는 마사지, 목욕 등의 물리적 행위에 에센셜 오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