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향기 치유
- 안전한 향기
- 후각
- 로마시대
- 합성향료
- 향
- 유래
- 향수 발전
- 중국의 향
- 향기 문화
- 천연향료
- 고대 이집트
- 치유의 역사
- 아로마 콜로지
- 후각수용체 종류
- 향품
- 향기
- 향의 역사
- 무미야
- 향기 주의 사항
- 후각수용체
- 에탄올 발견
- 파라오 시대
- 향의 의례적 기능
- 향기 전달되는 방식
- 근대적 위생
- 향 문화
- 향기 치료제
- 향기 역사
- 향 역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기독교 (1)
향기 치유, 향의 역사, 향기 문화

기독교에서의 향의 흔적과 의미 바로 4000년 전, 이집트, 아라비아, 지중해를 연결했던 인센스로드(Incense road), 즉 '향의 길'이었습니다. 인센스로드는 아라비아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오만의 옛 도시 우바르에서 시작해서 아라비아반도 해안선을 따라 지금의 팔레스타인 지역인 가자지구에 이르는 세계 최초의 향 무역로였습니다. 가자지구에 도착한 향은 지금은 사라진 요르단의 옛 도시 페트라와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다마스쿠스, 멀리 지중해 서쪽 지방까지 수출되었습니다. 인센스 로드를 따라 향을 운반하던 카라반들은 두 달간의 여정 동안 숱한 생사의 고비를 넘겼고 막대한 세금을 주변 도시에 바쳤습니다. 그 덕분에 인센스 로드 주변 도시들은 문화적, 경제적 번영을 구가했습니다. 그 길에서 카라반들은 오늘날..
향기 치유, 향의 역사, 향기 문화
2022. 7. 26. 20:44